[통합소식]노조통합사례 ②영국,호주편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홍보
조회 698회
작성일 03-12-03 00:00
본문
국내외 노조통합사례 ②영국,호주편
영국의 노조 통합은 70년대 보수당 정권 집권기부터 시작되어 90년대를 접어들면서 본격화된다. 최근의 통합으로는 1993년 7월에 출범한 유니손(UNISON)의 대표적 사례로 손꼽힌다. UNISON은 영국의 보건서비스연맹, 공무원노조, 공공노조가 통합한 것으로 130만 조합원을 포괄하여 영국내 최대 조직이 되었다.
통합노조의 명칭인 유니손(UNISON)은 대부분 노조들이 명칭이 머릿글자를 조합하거나 전통적으로 산별의 특징을 나타냈던 것을 탈피하여 조합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파격적인 명칭을 선택하였고 그 뜻은 통합정신과 단결을 상징하는 '조화', '화합'을 뜻한다. UNISON은 통합의 이유는 영국 보수당 정권의 신자유주의에 따른 노동조합 탄압을 극복하기 위해 공공부문 노동조합이 통합한 것이며, 조합원수의 감소와 그에 따른 재정 상태의 악화때문이다.
한편, 최근(1999년 5월)에 유니피(UNIFI)라는 금융부문의 단일노조가 결성되었다. 통합의 배경에는 1990년대 초 영국에 불어닥친 불황으로 소매금융부문에서 급격한 고용감소와 파트타임 증가로 고용불안이 심해졌다는 이유가 자리잡고 있다. 통합조직에 대한 시도는 1990년대 이전에도 있었지만 성공하지 못하했고 고용이 급감해지던 1990년대 중반 이후 각 노조의 지도부 교체와 통합을 완수시켰다.
1980년 이후 호주의 통합 사례는 매우 독특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통합이 노조의 자발적 노력에 의하여 추진된 것과는 달리 호주는 정부와 노총(ACTU)이 적극적으로 노조 통합을 추진하였다는 점이다. 정부와 노총은 전국수준에서 노동조합의 분산과 기업 및 사업장 수준에서의 복수노조주의를 극복하기 위하여 노조간 통합을 적극 장려하였다.
1980년의 경우 호주 노동조합의 숫자는 316개였다. 이중 96%는 5만명 미만이었으며, 80%는 1만명 미만이었다. 대부분이 직종별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인데 예를 들어 제조업에서는 26개 노동조합, 운수부문에서는 55개 노동조합이 존재했다.
호주의 경우는 국가 발전 차원에서의 노동운동 혁신의 주요 의제로 조직통합과 정비 문제가 제기되었다. 1987년 호주 노총(ACTU)과 무역발전위원회(TDC)는 공동으로 구라파를 방문한 후 '호주재건'이라는 보고서를 제출하였는데, 이 보고서는 호주의 정치, 경제, 사회는 물론이고 노동조합운동이 나아가야 할 길을 담고 있었다. 이 보고서는 노동운동의 개편 개혁안을 제시하였는데 그중 하나가 300개가 넘는 노조를 2년안에 20개로 통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근거하여 호주노총은 '노동조합운동을 위한 미래전략'이라는 보고서를 제출하여 1987년 총회에 승인하고 1989년 구체적인 행동 계획을 채택했다. 그 결과 1993년 총회때에는 300개가 넘던 가맹 조직수가 80개로 대폭 축소되었다.
영국의 노조 통합은 70년대 보수당 정권 집권기부터 시작되어 90년대를 접어들면서 본격화된다. 최근의 통합으로는 1993년 7월에 출범한 유니손(UNISON)의 대표적 사례로 손꼽힌다. UNISON은 영국의 보건서비스연맹, 공무원노조, 공공노조가 통합한 것으로 130만 조합원을 포괄하여 영국내 최대 조직이 되었다.
통합노조의 명칭인 유니손(UNISON)은 대부분 노조들이 명칭이 머릿글자를 조합하거나 전통적으로 산별의 특징을 나타냈던 것을 탈피하여 조합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파격적인 명칭을 선택하였고 그 뜻은 통합정신과 단결을 상징하는 '조화', '화합'을 뜻한다. UNISON은 통합의 이유는 영국 보수당 정권의 신자유주의에 따른 노동조합 탄압을 극복하기 위해 공공부문 노동조합이 통합한 것이며, 조합원수의 감소와 그에 따른 재정 상태의 악화때문이다.
한편, 최근(1999년 5월)에 유니피(UNIFI)라는 금융부문의 단일노조가 결성되었다. 통합의 배경에는 1990년대 초 영국에 불어닥친 불황으로 소매금융부문에서 급격한 고용감소와 파트타임 증가로 고용불안이 심해졌다는 이유가 자리잡고 있다. 통합조직에 대한 시도는 1990년대 이전에도 있었지만 성공하지 못하했고 고용이 급감해지던 1990년대 중반 이후 각 노조의 지도부 교체와 통합을 완수시켰다.
1980년 이후 호주의 통합 사례는 매우 독특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통합이 노조의 자발적 노력에 의하여 추진된 것과는 달리 호주는 정부와 노총(ACTU)이 적극적으로 노조 통합을 추진하였다는 점이다. 정부와 노총은 전국수준에서 노동조합의 분산과 기업 및 사업장 수준에서의 복수노조주의를 극복하기 위하여 노조간 통합을 적극 장려하였다.
1980년의 경우 호주 노동조합의 숫자는 316개였다. 이중 96%는 5만명 미만이었으며, 80%는 1만명 미만이었다. 대부분이 직종별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인데 예를 들어 제조업에서는 26개 노동조합, 운수부문에서는 55개 노동조합이 존재했다.
호주의 경우는 국가 발전 차원에서의 노동운동 혁신의 주요 의제로 조직통합과 정비 문제가 제기되었다. 1987년 호주 노총(ACTU)과 무역발전위원회(TDC)는 공동으로 구라파를 방문한 후 '호주재건'이라는 보고서를 제출하였는데, 이 보고서는 호주의 정치, 경제, 사회는 물론이고 노동조합운동이 나아가야 할 길을 담고 있었다. 이 보고서는 노동운동의 개편 개혁안을 제시하였는데 그중 하나가 300개가 넘는 노조를 2년안에 20개로 통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근거하여 호주노총은 '노동조합운동을 위한 미래전략'이라는 보고서를 제출하여 1987년 총회에 승인하고 1989년 구체적인 행동 계획을 채택했다. 그 결과 1993년 총회때에는 300개가 넘던 가맹 조직수가 80개로 대폭 축소되었다.